그러나 직썰 취재 결과, 금융지주들의 CDS프리미엄 급등세는 나타나지만 당장 부도 위험을 직면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8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4대 금융지주의 CDS프리미엄 평균은 75bp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22bp 수준에서 3배 이상 급등한 수치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의 CDS프리미엄은 지난해 말 22bp에서 77bp로 올랐다. 같은 기간 KB금융지주는 22bp에서 75bp로, 신한금융지주는 24bp에서 73bp로 상승했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업이 부도를 맞았을 때 손실을 보장해주는 보험 성격의 금융파생상품이다.
CDS프리미엄은 부도 위험을 벗어나는 데에 필요한 보험료 성격의 수수료를 의미하는데, 수치가 높을수록 해당 채권의 부도 위험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CDS프리미엄은 국제금융시장에서 대외신인도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꼽힌다.
1년여 만에 나타난 4대 금융지주 CDS프리미엄 급등세는 75bp 수준이던 2017년 말 이후 약 5년 만에 있는 일이다.
국내 금융지주 CDS프리미엄은 올해 상반기 50bp대로 상승했다가 8월 30bp로 떨어진 이후 9월부터 40bp대, 11월 70bp대까지 상승 가도를 그리고 있다.
만일 현재의 급등세가 지속된다면 금융지주들의 채권부도 위기는 더욱 뚜렷하게 가시화되는 셈이라 유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 다만 현재로서는 직접적인 부도 위험은 없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지금처럼 글로벌 금융시장이 통화 긴축을 하고 있으면 대내외나 업권 전반적으로 CDS프리미엄이 높아진다”며 “어느 정도의 절대값이 위험하다는 임계치를 말씀드리긴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관계자는 “최근 시장에서 부도 위험이 부각됐던 금융기관들을 보면 CDS프리미엄이 300bp 이상으로 올랐다”며 “현재 국내 금융기관들은 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고, 은행들의 금융 건전성도 좋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상황이 악화됐다 보긴 어렵다”고 강조했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은행들의 경우 CDS프리미엄은 국가 신용등급과도 연관이 있다”며 “현재 우리나라 채권시장의 국제적인 신뢰도가 하락한 것을 반영해 CDS프리미엄이 전체적으로 좀 올랐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나 리먼 사태 당시 300bp 이상으로 CDS프리미엄이 급등했던 전례와 비교해 현재 75bp 정도는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금융당국에서 채권시장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금융지주들도 함께 참여해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니 CDS프리미엄 수준은 정상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직썰pi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썰CEO] 구현모 KT대표, GSMA 이사회 멤버 재선임 (0) | 2022.11.08 |
---|---|
이정재 출연 '스타워즈' 새 시리즈 '애콜라이트' 촬영 현장 공개 (1) | 2022.11.08 |
윤 대통령 "유가족과 국민께 미안하고 죄송" 사실상 대국민 사과 (0) | 2022.11.07 |
롯데렌탈, 3Q 영업이익 940억원…전년比 28.9%↑ (0) | 2022.11.07 |
자기자본 ‘10조’ 미래에셋증권, 3Q 투자자 관심도 1위 증권사 (0) | 2022.11.07 |